1. 제조업 경기
□ 2022년 3분기 현황
○ 제조업 매출(86)은 100 하회 지속, 전분기 대비 하락 전환
- 내수(87)가 2020년 3분기 이후 최저치로 하락하고, 수출(89) 역시 하락 전환, 투자(98)는 8분기 만에 100을 하회, 고용(99)도 100을 하회
□ 2022년 4분기 전망
○ 매출 전망치(95)는 2분기 연속 100 하회, 2분기 연속 하락세
- 내수(94)와 수출 전망치(97)가 7분기 만에 최저치로 동반 하락, 투자(96)와 고용(98)은 각각 7분기와 8분기 만에 100 밑으로 동반 하락
2. 유형별 경기
□ 2022년 3분기 매출 현황
○ 신산업과 대기업 등 전 유형 100 하회, 전분기 대비 하락 전환
- 산업 유형별로는 소재부문(86)과 신산업(96)이 100을 하회하면서 모든 유형이 동반 100을 하회하고, 기업 유형별로도 대기업(96)이 다시 100 밑으로 하락하면서 모든 유형에서 100을 동반 하회
□ 2022년 4분기 매출 전망
○ 대기업에서 유일하게 100 상회, 기계·소재 부문 제외하고 하락세
- 산업 유형별 기준에서 신산업(93)이 8분기 만에 100을 하회하는 등 전 유형이 100을 하회하나, 전분기 대비로 기계(99)·소재(94) 부문이 소폭 상승 전환하고, 기업 유형별로는 대기업(101)만 100을 상회
3. 업종별 경기
□ 2022년 3분기 매출 현황
○ 정유 업종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 100 하회, 전분기 대비 동반 하락세
- 정유(102) 업종만이 유일하게 전분기에 이어 100을 넘어선 가운데 화학(83), 철강(79), 바이오/헬스(96) 등 대다수 업종들이 100을 하회하는 모습이고, 전분기 대비 기준으로도 하락 전환
□ 2022년 4분기 매출 전망
○ 무선통신기기·자동차·정유 업종만 100 상회, 다수 업종 추가 하락세 시현
- 무선통신기기(116)를 비롯해 자동차(101), 정유(106) 등의 업종들이 100을 넘으면서 전분기와 달리 상승 전환한 모습이고, 나머지 모든 업종들은 100을 넘지 못하면서 추가적인 하락세
산업선택 |
|
|
|||
시점 | 생산 | 수출 | 수입 | 생산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*( )는 전기비 증감률 |